노조 "신차 배정"- 사측 "구조조정과 3조 증자"

한국 GM 부평공장 전경 ⓒ 인천뉴스

철수설이 제기되고 있는 한국지엠이 지난 7일부터 올해 조기 단체교섭을 시작했다.

하지만 사측이 5개 부문을 제시한 반면 노조측의 요구안이 없이 진행돼 지난해 노사가 합의한 오는 2월말 까지 교섭 마무리는 물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한국지엠 노사는 GM글로벌 전략 신차배정을 유리하게 적용 하기 위해 지난 7일 올해 단체교섭 상견례를 시작으로 8일 2차 협상을 벌였다.

 2차 협상은 사측의 주요 경영설명회로 진행됐다.

사측은 신차와 관련하여 모델은 글로벌 아키텍쳐 CUV로 결정됐으며, 개발단계는 1단계로 진행되었다고 밝혔다.

차량 양산까지 48개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차량 생산 배정은 결정되지 않았으며, 공백기에는 가농안 교용유지를 위한 방안은 모색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사측은 특히 한국지엠 공장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은 수익성 문제로 인해 외주로 나가는 것은 문제가 심각하다며 한국지엠 내에서 생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8일 부터 2개월간 공장 가동이 중단되는 군산공장과 관련, 카젬 사장은 "군산공장이 어려움이 있지만 신차 배정은 아지까지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노사는 2차 경영설명회 내용 중 논점이 불거지고 설명이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3차 협상에서 논의 하기로 했다.

한국지엠 노조는 3차 협상도 마무리하지 못한 경영설명회로 진행된다고 밝혀 노조요구안이 나오는 3월 중순 이후 실질적인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앞서 사측은 지난달 24일 회사가 중대한 위기에 봉착해 있다며 올해 임금단체교섭은 미래발전 지속 가능성에 대한 결론을 2월말까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며 조기 단체협상을 요청했다.

회사측은 다섯가지로 분류된 교섭 내용과 개선안을 노조측에 제시했다.

특히'임금과 복리후생의 한시적 유보' 등을 담고 있어 단체협상에서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노조는  올해 조기 단체 교섭과 관련하여 소식지 '민주광장'을 통해 "지난해 임금교섭에서 2월 중에 교섭을 시작해야만 GM의 글로벌 전략 신차배정에 유리하기게 작용하고, GM의 신차배정을 받기위한 설득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조치로 노사간 합의한 것"이라며 "2018년 임단협을 2월중에 끝낸다는 것은 일부 현장이나 인터넷상에서 떠도는 소문과 기사는 사실 왜곡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차배정과 물량확대 방안이 구체적이고 확실하게 정리 되지 않는다면 (회사측 교섭제시 안)을 깊이 있게 교섭에서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회사가 교섭요청 공문을 통해 밝힌 교섭의제에 대해 현장에서는 다양한 해석을 하고 불안해 하고 있다"며 "공문 내용 중 다섯 가지로 분류된 방안과 개선은 교섭의 의제로 회사가 임의적으로 정한 것일 뿐이다. 회사가 발송한 의제는 교섭석상에서 논의되고 협의할 사항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노조는 "교섭요구안은 금속노조가 3월 12일 임시대의원 대회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며 "신차배정과 물량확대 등 미래발전에 대한 확실한 방안이 마련된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교섭에 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일 글로벌 실적 발표 현장에서 "독자생존이 가능한 사업체를 갖기 위해 앞으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언해 한국지엠 철수설이 불거졌다.

이어 지난해 말 산자부장관과 산업은행 관계자를 만나 한국지엠 회생방안을 논의한 배리 앵글 GM해외사업부문 사장이 또다시 한국에 와 8일 유정복 인천시장 등을 만나 논의 내용에 관심을 끌고 있다.

 GM이 한국지엠 정상화를 위해 3조 유상 증자를 추진하면서 산업은행 등의 참여를 요청했다는 언론 보도가 이어졌다.

이와 관련, 산자부는 지난 8일 "정부는 GM측으로부터 3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관련해 구체적인 제안을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한국 GM 부평공장 전경 ⓒ 인천뉴스

한국지엠은 구조 조정은 있지만 철수는 없다고 강조하지만 GM은 지난 2013년부터 글로벌 구조조정을 이어가고 있다. 

GM이 호주와 인도네시아 공장 철수를 시작으로 태국·러시아 생산 중단, 오펠 매각, 인도 내수 시장 철수 등 수익성 위주의 경영으로 재편하고 있어 한국지엠 3조 증자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한국지엠 철수로 노조와 정부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인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