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모검객吹毛劍客

―무산기담霧山奇談․2

 

내가 아는 취모검객은

검이 없다

손가락 하나로

휘익

터럭을 베어버린다

하지만

그의 검술은

손가락보다는

눈길로 베는 수가

더 많다

번쩍

찌르는

광채의 찰나를 보았는가 하면,

어느새

그의 눈길의 칼은

칼집에 들어가 있다

내가 만난 취모검객은

그림자가 없다

-<리토피아> 48호에서

 

 

이가림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프랑스 루앙대 박사. 파리7대학 객원교수 역임. 시집 <빙하기>,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순간의 거울>, <내 마음의 협궤열차>, <바람개비 별> 등. 정지용문학상, 편운문학상, 유심작품상, 펜번역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등 수상. 인하대 프랑스문화과 명예교수.

 

칼을 쓰려면 제대로 써야 한다. 칼을 쓰려면 아예 뿌리까지 잘라버리는 무서운 칼법을 써야 한다. 인정이 남아 조금만 여유를 주어도 그 싹은 죽지 않고 다시 살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무섭고 독하고 예리한 칼이 취모검이다. 이가림 시인은 시 바깥에서는 평생 취모검을 쓰지 않는 따뜻한 시인이다. 용서와 사랑으로 가득한 가슴속에 취모검을 깊숙이 감추어 두고 세상을 넉넉하게 살아온 깊고 넓은 시인이다. 숨겨둔 취모검을 오로지 시에만 사용하는 한국시단의 독보적인 취모검객이다. 손가락도 쓰지 않고 눈으로 베는 시, 항상 칼집에 칼이 꽂혀 있으나 어느 사이 휘두른 칼질로 그림자도 보이지 않는, 그런 시를 쓰는 취모검객이다. 그 취모검에 의해 명징하게 베어지는 수많은 독자들이 그의 아름다운 희생자들인 동시에 추종자들이다. 시를 쓰려면 제대로 써야 한다는 것이 그의 시법이다. 그는 취모검으로 시를 쓰고, 그 시는 다시 취모검이 되어 독자들을 향한다. 칼이 칼이려면 날선 칼이어야 한다./장종권(시인, 리토피아 주간)

저작권자 © 인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