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협회, 정부 PA간호사 인력 확대 '기대'

[인천뉴스 김종국 기자] 인천지역 수련병원 전공의들의 사직서 제출이 90%에 육박하고 있다.
각 병원들의 수술실과 응급실 운영이 비정상적으로 돌아가면서 의료인들의 현장 복귀 요청을 비롯해 비상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인천시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당부하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진료보조(PA)간호사의 업무확대로 위기의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의사협회는 불법・저질의료라며 맞서고 있다.
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인천지역 11개 병원 540명의 전공의(레지던트 및 인턴) 중에서 471명이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87.2%에 해당된다.
길병원 전공의 196명 중 176명, 인하대병원 158명 중 152명, 인천성모병원 92명 중 72명, 국제성모병원 50명 중 42명이 일신상의 이유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또 인천의료원은 12명 중 12명이, 인천사랑병원 9명 중 8명, 인천세종병원 5명 중 2명, 나은병원은 4명 중 4명, 한길안과병원 3명 중 3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다.
부평세림병원(8명), 인천한림병원(3명)의 전공의들은 아직 사직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사직서 제출자 471명 중 380명이 근무이탈자로 분류됐으며 1차 업무개시 명령 26명, 2차 업무개시 명령이 19명에게 떨어졌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김종배 인천시의원은 이날 시의회 본회의에서 "의대 정원 확대로 정부와 의협간 강대강 기조로 시민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며 "중환자실과 응급실은 한 시각도 비울 수 없는 곳이기에 시민의 생명을 담보로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생명 존중의 참 의료를 펼치고 싶어하는 전공의 여러분들이 의료 현장을 떠난 현상에 대해 시의회와 시민들은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내가 어떠한 집에 들어가더라도 나는 병자의 이익을 위해 그들에게 갈 것이며, 그 어떤 때라도 모든 이에게 존경받으며 즐겁게 의술을 펼칠 것이요’라는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어려운 현장을 지키는 의사와 간호사들에게는 적절한 보상과 격려를 정부와 인천시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며 "보건소와 시 의료원에 대한 행정지도와 응급실 뺑뺑이가 발생치 않도록 비상의료체계 유지 등 인천시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관련해 인천시는 인천의료원,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적십자병원, 인천보훈병원 등 4개 공공병원의 진료시간을 연장했다.
각 보건소에서는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을 운영해 의료기관 휴진 및 응급의료기관 운영 상황들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운영시간도 연장하고 동네 문 여는 병의원 현황과 운영시간은 응급의료포털에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의 경우, PA간호사의 전면적인 활용을 의료공백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대한의사협회 비대위는 “마땅히 의사가 해야 할 일을 전공의가 없다는 이유로 정부는 PA에 의한 불법 의료행위 양성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며 “제대로 자격도 갖추지 못한 PA에 의한 불법 의료행위가 양성화되면 의료인 면허범위가 무너지고 의료 현장은 불법과 저질 의료가 판치는 곳으로 변질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반면 대한간호협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간호사 시범사업에 대해 의협은 허위사실 유포를 즉각 중단하고 나만 옳다는 고집과 독선을 먼저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간호협회는 "전공의가 떠난 의료현장에서 간호사는 교수나 전임의들의 지도 하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이를 두고 불법과 저질 의료를 운운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며 "간호사 업무확대 시범사업은 의료기관들이 오랫동안 의사업무를 대신시켜 온 전문간호사뿐 아니라 일반간호사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의료법 제2조 간호사 업무 항목 중 ‘진료 보조’에 대한 모호함을 해소하는 법적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