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공사 이관 촉구 및 직매립 금지 유예 반대 인천시민 결의대회. 범시민운동본부 포토
SL공사 이관 촉구 및 직매립 금지 유예 반대 인천시민 결의대회. 범시민운동본부 포토

인천뉴스 김종국 기자 ❚ 수도권매립지 문제해결 범시민운동본부와 검단‧서구 주민단체는 긴급 현안인 수도권매립지 문제해결을 위해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이관 촉구 및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반대 인천시민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1천여 명의 주민들은 이날 서구청 마실 거리에 모여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약속대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를 인천시로 이관하고, 2026년 1월 1일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금지하라"고 외쳤다.

또 환경부는 4자 협의 약속을 지키고 인천시민 앞에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김용식 서구발전협의회장은 "이제 더는 참을 수 없다, 정부와 정치권에 희생이 아닌 정의와 회복, 그리고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향한 실질적인 해결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양성모 서구의제 전 주민대표는 "삼백 만 인천시민을 고통 속에 살게 하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노조는 각성하라, 인천시 이관 반대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윤지상 전 시의원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인천시 이관과 매립지 종료 시점을 지금 당장 명확히 밝히라"고 요구했다.

오승환 서구 주민자치위원회 회장은 "30년간 고통을 감내한 인천시민을 무시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즉시 사과하고 책임 있는 조치를 내놔라"고 말했다.

주경숙 검단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서울시·경기도·기후에너지환경부는 4자 협의체에서 스스로 한 약속을 즉시 이행하라, SL공사 이전과 생활폐기물 직매립 종료 약속을 더는 미루지 말라"고 강조했다.

박찬만 서구의회 의정감시단 위원은 "정부는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앞장서라, 말뿐인 관리가 아닌 실질적 종료 로드맵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김일태 미래교육혁신연구소 서구지회장은 "지역 정치인들은 정쟁으로 분열하지 말고, 인천시민과 함께 매립지 문제해결에 단결해 즉각 행동으로 매립지 문제해결에 앞장서라"고 요청했다.

이정인 검단동행 대표는 "인천시민은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연장 시도를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 기후부 장관은 인천시민의 단호한 의지를 반영해 원칙대로 시행하라"고 했다.

안병흔 검단리조트시티연합 공동대표는 "4자 협의체에서 협의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인천시 이관과 토지소유권 인천시 이전 약속 지키지 않으려면 당장 쓰레기 반입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할권 인천시 이관 및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제도 시행 등을 위해 인천시는 피해 지역이기에 맡은 역할을 다했지만, 정작 4자 협의체의 주체들인 환경부와 서울시‧경기도는 미온적으로 대처해 왔다"고 비판했다.

김 사무처장은 "수도권매립지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인천지역 여야민정이 단일대오로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범석 서구청장과 송승환 서구의회 의장도 "주민과 행정, 정치권이 똘똘 뭉쳐서 현안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SL공사 이관 촉구 및 직매립 금지 유예 반대 인천시민 결의대회. 범시민운동본부 포토
SL공사 이관 촉구 및 직매립 금지 유예 반대 인천시민 결의대회. 범시민운동본부 포토

이번 결의대회에는 대한노인회인천시연합회, 인천경영자총협회, 인천경실련, 인천시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인천시사회복지협의회, 인천시새마을회, 인천시이‧통장연합회, 인천시주민자치연합회, 인천사랑고교동문연합회, 인천상공회의소, 인천상인연합회, 인천언론인클럽, 한국여성경제인협회인천지회, 한국예총인천시연합회 한국자유총연맹인천지부, 불로지구총연합회, 원당지구아파트입주자대표, 영종시민연합회, 남동시민연합회, 연수시민연합회, 중구시민연합회, 검단동행 등이 뜻을 같이 한다.

저작권자 © 인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