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지난 28일 국회 앞 결의대회를 통해 “국회를 통과해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으로 무산된 방송3법 개정 재입법 추진을 22대 국회에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전국 90개 노동·언론·시민사회단체가 결성한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이날 결의대회를 열고 방송3법 재입법, 언론장악 국정조사 실시, 미디어개혁특위 설치 등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현 정권의 언론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반헌법적 탄압은 아시아 민주주의 선진국인 대한민국이 독재화하고 있다는 국제사회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며 “현재의 방송법과 방송규제 체제가 지속되면 KBS 낙하산 사장 임명, YTN 사영화처럼 권력에 의한 공영방송 통제와 해체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또 8월 말 예정된 KBS 이사진과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진 교체 과정에서 공영방송을 저해하려는 시도가 가속돼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단체들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무산된 방송3법 개정 재입법 추진으로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확보해야 한다”며 “언론장악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과 국회 미디어개혁특별위원회 설치를 통해 국민의 알 권리와 언론 및 표현의 자유가 침해당하지 않도록 근본적 제도개혁을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고 국회에 요구했다.
결의대회는 이지현 참여연대 사무처장의 진행으로, 박석운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공동대표, 윤창현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신태섭 민언련 상임공동대표, 언론노조 KBS, MBC, YTN, TBS, 방심위 본부 및 지부 대표자들이 발언을 했다.
윤창현 언론노조위원장은 “언론자유와 민주주의 퇴행을 막을 장치를 국회가 책임지고 마련하라고 21대 국회에서 4년 내내 요구했는데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22대 국회에서는 반드시 관련 입법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송지연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장은 "TBS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없어 문민정부 이후 공영방송이 정권에 의해 문을 닫는 최초의 사례가 될지 모른다"며 "공적 자산 TBS가 문 닫는 것을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결의대회 참가자들은 '공영방송 정치독립', '국민의 염원이다', '방송3법 개정안 즉각 재입법하라'고 쓴 손팻말을 들었다.
이날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결의대회’가 끝나고 참가자들은 국회 앞 국민은행에서 KBS본사, 국민의힘 당사 앞으로 거리행진을 했고 당사 앞에서 마무리 집회를 했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지난 3월 6일 전국언론노조, 민주언론시민연합, 민변, 언론연대, 전국민중행동·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 노동, 시민, 언론분야 단체들로 결성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