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종건, 모든 계약 적법하게 진행...업체 사무실 운영까지 확인 어려워
- 업계 전문가, A업체 실질적인 회사운영은 서울에서...지역업체 혜택 위해 주소만 이전

인천광역시 신청사 조감도. 인천시 포토.
인천광역시 신청사 조감도. 인천시 포토.

인천뉴스 이정규 기자ㅣ인천종합건설본부(이하 ‘인천종건’)가 인천에 본사를 둔 A업체에 공공조달사업 수의계약을 집중 발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지역업체 우대라는 제도가 본래 취지와 달리 특정 업체에 반복적으로 혜택을 주는 통로로 변질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인천뉴스> 취재에 따르면, A업체는 지난 2022년 본사를 인천으로 이전했다.

현재 본사에는 일부 현장관리자와 사무직원만 상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질적인 운영은 서울지사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업체가 주소 이전만으로 지역업체 혜택을 노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A업체는 본사 이전 이후 인천종건을 비롯해 여러 기관으로부터 수차례 수의계약을 따냈다.

지난해에는 5차례 약 30억원 규모의 공사를 수주하며 단기간에 ‘단골 업체’로 자리 잡았다.

계약 과정의 공정성 논란도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발주 담당 공무원과의 대화에서 이미 업체가 정해졌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심사와 절차는 사실상 무의미했고, 특정 업체에 맞춰진 구조로 보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A업체가 지역 인맥을 등에 업고 공공사업을 독점하는 분위기”라며 “공정경쟁은 이미 사라졌다”고 말했다.

한 전문가는 “지역업체 보호 제도가 특정 업체만을 위한 방패로 변질된다면, 본래 목적은 무너지고 시장 전체가 불공정해진다”며 “공정경쟁의 근간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인천종건 관계자는 “모든 계약은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 행정기관으로서 모든 업체의 실제 사무실 운영까지 확인하기는 어렵다"며, "제출된 서류에 문제가 없다면 인천시 조례에 따라 지역업체에 혜택을 주는 것일 뿐, 특혜는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A업체 관계자도 “당사는 기술력을 갖춘 우수한 회사”라며 “본사를 인천으로 이전한 것은 대표가 인천 출신으로 지역에서 사업을 이어가고자 한 의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2년 이후 실적이 없어 어려움을 겪었지만, 꾸준한 영업 활동을 통해 성과를 얻은 것이지 특혜 때문은 아니다. 지역업체 혜택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사안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인천시 신청사 건립 관련 사업으로까지 불똥이 튈 조짐이다. 

업계에서는 특정 업체와의 계약이 이미 내정됐다는 소문이 돌고 있어, 유사한 논란이 재현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저작권자 © 인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