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 감정4지구 도시개발사업을 둘러싸고 정하영 전 김포시장에 대한 권한남용·뇌물수수 의혹이 다시 지역사회 논란의 중심에 섰다.
14일 오전 김포시청 앞에서는 타운앤컨츄리㈜ 관계자와 지역시민 150여 명이 모여 정 전 시장의 구속 재판과 김포시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참여 시민들은 “62억 원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는 시장이 불구속인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감정4지구 사업을 빼앗긴 책임을 김포시가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타운앤컨츄리는 감정동 598-11 일대 19만여㎡에서 2003년부터 감정4지구 개발을 추진해 온 민간 시행사다.
2013년 주민제안으로 지구단위계획을 확정받고 2017~2018년 교통영향평가·경관·건축심의를 모두 통과했으며, 토지 확보율도 95%를 넘겼다.
회사는 “약 450억 원을 투입해 사실상 착공 직전 단계의 사업이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2018년 정 전 시장 취임 이후 김포시는 기존 민간개발 방식을 중단하고 지케이개발㈜·김포도시관리공사가 참여하는 민관합동공영개발로 방향을 전환했다.
타운앤컨츄리는 "2019년 한 해 동안 제출한 다섯 차례의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이 ‘동의율 미달’, ‘자료 보완’ 등을 이유로 모두 반려됐다"며 “행정이 의도적으로 사업을 막았다”고 주장한다.
같은 해 11월 김포시는'중복사업 불가'를 이유로 주민제안 자체를 공식 거부했다.
이 과정에서 동의서 위조 의혹, 동일 부지에서 두 건의 건축심의가 동시에 통과된 점, 후 접수된 공영개발 제안이 우선 처리된 정황 등이 불거지며 갈등이 더 커졌다.
타운앤컨츄리는 “정 전 시장과 특정업체가 유착해 정상적인 민간사업을 배제했다”며 형사 고소와 민사 소송을 병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법무법인 J사를 통해 김포시·정 전 시장·김포도시관리공사를 상대로 1,000억 원 규모 손해배상 소송대리 계약을 체결하고 김포시에 내용증명을 발송했다.
반면, 김포시는 “감정4지구는 당시 장기간 지연돼 공공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고, 공영개발 전환은 정책적 판단”이라며 “모든 반려 처분은 법령에 따른 정상 행정 절차”라고 반박하고 있다.
새로운 시행사 지케이개발 측도 “사업권 강탈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사업은 적법하게 진행됐다”고 맞서고 있다.
정 전 시장을 둘러싼 뇌물 의혹은 논란의 핵심이다.
검찰은 정 전 시장이 차명 법인을 통해 지케이개발과 100억 원대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그 대가로 공영개발을 지원한 정황을 확인했다며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직권남용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약 62억 원의 뇌물수수 의혹 중 24억 원의 실제 금전 흐름이 확인됐다는 것이 검찰의 입장이다.
김포도시관리공사 전 사장 등 공무원·업체 관계자 8명도 함께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집회 참가자들은 “민간사업권 침탈과 행정 절차 왜곡 의혹은 명확히 규명돼야 한다”며 정 전 시장 구속 재판과 김포시 책임을 거듭 촉구하고 있다.
감정4지구 개발을 둘러싼 갈등은 민·형사 재판이 이어지면서 장기화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