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시교육청 업무보고…교육박물관 위치 부적합 지적
인천시의회 시교육청 업무보고에서 해밀학교 문제를 비롯해 학력선도학교 수능성적 부진, 원도심 학력향상 대책, 교육특구와 교육박물관 문제점 등이 도마에 올랐다.
4일 열린 제211회 인천시의회임시회에서 인천시교육청은 주요예산 업무보고를 통해 해밀학교에서 올 9월에 수탁해지된 학생 21명을 복교시키겠다고 보고했다.
다만 학교 정원이나 학년과 학급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전원 학교로 복교시키는 것은 어렵고 학생들의 복교 의사를 확인한 후 인천지역의 6개 대안교육기관에 분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시교육청의 복교 조치는 단순한 책임 면피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교육청은 재입학 인원을 올 9월에 수탁해지된 해당자로만 한정했다. 9월 이전에 수탁해지된 학생 39명에 대한 구제의 길을 열어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학교장의 독단적인 서약서의 수택해지 기준을 근거로 학교를 떠난 학생들에 대한 근본적인 책임은 학교에 대안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시교육청이 져야 함에도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는 것이다.
적어도 해밀학교의 외면으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만이라도 구제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해 3월 해밀학교가 개교하면서 입학 3주간 예비적응교육과정을 평가해 기준점수에 미달되면 수탁을 해지한다는 교장의 독단적인 서약서에 의해 학교를 나오게 된 학생들은 총 80명에 이른다.
업무보고에서는 학력선도학교 성적 부진에 대한 문제점도 짚었다. 노현경 의원은 학력향상선도학교 학생 1·2 등급의 성적을 비교해 본 결과 대체로 하락했다며 이유를 물었다.
교육위원들은 강화군 길상면에 추진하는 교육박물관에 대한 문제점도 집중 거론했다.
박물관 부지가 인천에서 차량으로 1시간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가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특히 박물관이 건립비와 전시품 구입비 등 31억원을 투입하는 규모로는 타지역과 경쟁력이 없어 결국 외면을 받게 될 것이라며 장기적인 안목으로 신중하게 추진하자는 의견을 내놨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은 "교육박물관을 강화도에 세우면 강화도 학생수련원과 연계해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서 "여러 의견을 들어 곧 최종 입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뉴스=유승희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