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뉴스 김종국 기자 ❚ 더불어민주당 맹성규・박찬대 의원과 이훈기 당선인이 그린벨트를 해제하고 조성하는 '남촌일반산단업지' 건립에 대해 선거 과정에서 반대 의견을 표명해 시민단체가 약속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18일 인천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22대 총선을 앞두고 남촌산단 조성 대상지에 속하는 남동갑(맹성규), 남동을(이훈기), 연수갑(박찬대) 국회의원 후보에게 환경운동연합은 산단 조성 '찬반'을 묻는 질의를 했고, 세 후보 모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문으로 회신했다.
박찬대 의원의 경우 이 사업 초기부터 연수구 주민들의 뜻에 따라 사업 반대 의견을 강력하게 밝혀왔고, 맹성규 의원도 산단 조성 사업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업이 진행돼야 하고 행정은 이를 뒷받침하는 방식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선인 이훈기 당선인은 관련 사업에 대해 반대 의견을 처음으로 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천환경운동연합 박옥희 사무처장은 "찬반 의견을 묻는 질의서에 세 후보가 추진 반대 의견으로 회신했고, 현재 모두 당선인 신분"이라며 "당선인들이 구체적인 반대 사유를 들지는 않았지만, 지역 주민의 환경권과 건강권을 침해하고 완충녹지를 해제하는 산단 추진에 대해 다시 한번 분명한 반대 입장을 밝혀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남동구, 연수구 주민들과 시민・환경단체의 반발과 달리 인천시와 남동구는 민선 6기 때부터 남촌산단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남동구는 이 사업이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를 비롯해 산재된 공장들의 재배치를 통한 첨단산업 집적화, 지역 경제 활성화, 공공성 확보 등 긍정적 효과가 더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사업을 추진하는 특수목적법인 남촌스마트밸리개발(주)의 지분구조는 남동구 35.1%, 산업은행 15%, 원일아이디씨 35.2%, 현대엔지니어링 외 3개사 14.7%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인천시도 최근 ‘남촌산단 조성을 위한 도시관리계획 개발제한구역 결정 변경안'을 재공고하고 남동IC 램프구간 사면부 일원을 이번 사업에서 제척하는 용도구역 결정 변경을 공고하고 주민 의견 청취 절차를 밟고 있다.
이번 변경으로 남촌산단 대상지는 당초 26만6538㎡에서 25만6616㎡으로 일부 감축됐다.
사업부지는 사유지 약 80%, 국공유지 약 20%로 이뤄졌다.
사업부지인 남촌동 625-31 일원 반경 2km 안에는 아파트단지와 주거밀집지역 지역이 포진돼 있고 초・중・고등학교 등 상당수의 교육시설도 위치하고 있어 주민 반발이 큰 상황이다.
또 LH가 바로 옆에서 추진하는 23만㎡ 규모의 도시첨단산단과 957만㎡ 규모의 남동국가산단과도 인접해 있어 환경피해가 우려된다.
실제 2020년 6월 제출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는 남촌산단이 조성되었을 경우, 4종의 발암물질이 위해도를 초과해 발생하는 등 주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해 남촌스마트밸리개발은 수질은 1·2종, 대기는 1·2·3종까지만 입주를 제한하는 등 송도국제도시 수준의 스마트 디지털밸리를 조성하겠다고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사업지의 그린벨트가 남동산단과 주거지역의 완충역할과 제2경인고속도로 진입로에서 발생하는 공해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해왔고, 승기천과 연결돼 생태적 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하고 있다.
사업자는 그린벨트 해제, 산업단지 계획 수립에 이어 산단 실시계획 승인·고시를 거쳐 토지 보상과 2025~2026년 착공을 진행하겠는 입장이다.
관련해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공공성과 주민수용성을 확보하지 못한 남촌산단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기후위기시대에 그린벨트를 보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