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인 "1만6천 가구 구월2지구 추진 등 장기적으로 폐수・악취 환경문제 심각"

인천뉴스 김종국 기자 ❚ 인천 남촌일반산업단지 조성 대상지에 속하는 남동갑(맹성규), 남동을(이훈기), 연수갑(박찬대) 국회의원 당선인이 25일 산단 조성에 대해 충분한 여론 수렴과 환경피해에 대한 불안 해소,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입장을 냈다.
맹성규・박찬대 의원과 이훈기 당선인은 인천시에 전달할 공동 입장문을 통해 이 같이 밝히며 산단 조성을 위한 개발제한구역 해제 결정 등은 신중히 결정돼야 한다고 했다.
현 단계에서는 반대 입장을 피력한 것이다.
이들은 "남촌산단이 처음 추진된 때와 지금은 많은 여건이 변화했다"며 "당장 남촌산단 바로 옆에는 구월2공공주택지구(1만6000여가구·3만9000여명)가 들어서게 되고 2026년 남촌산단이 준공되면 승기하수처리장의 용량이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 폐수와 악취 문제는 더 심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선인들은 "남촌산단과 관련한 감사원의 감사가 진행 중이며 공공성 때문에 남동구와 산업은행이 출자해 개발제한구역까지 해제해 추진되는 사업인데, 공공성에 문제가 제기된 만큼 감사 결과를 지켜 보고, 개발제한구역 해제 재공고를 해도 늦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특히 남촌산단 조성이 주민수용성을 해결하지 못했고 환경 피해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둘러 사업이 추진될 이유는 없다고 강조했다.
맹성규・박찬대・이훈기 당선인은 "주민수용성 문제도 해결되지 않았다"며 "3천여 시민의 주민청원에 대해 인천시가 2020년 주민 수용성 확보와 공감대 형성을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인근 주민들과 시민단체 등은 남촌산단 조성에 여전히 반대하고 있다"고 했다.
이들은 "2020년 남촌산단 환경영향평가서에 1급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발암위해도를 초과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촌산단 2km 이내에는 남동구 남촌동과 선학동 주거밀집지역이 있고 남촌초, 성리초, 논곡초, 선학초, 연수초, 승학초, 인천여고, 인명여고 등 15개의 학교가 있어 환경 피해 우려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둘러 사업이 추진될 이유는 없다"고 했다.
당선인들은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발전을 위해 산업단지 조성이 필요하지만 환경 파괴 우려, 주민 수용성 확보와 변화된 도시 여건 등을 고려한다면 남촌산단과 관련한 충분한 여론 수렴, 불안 해소, 대책 마련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인천시에 요구했다.
한편, 사업자인 남동구와 남촌스마트밸리개발(주)는 그린벨트 해제, 산업단지 계획 수립 및 산단 실시계획 승인·고시를 거쳐 토지 보상과 2025~2026년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남촌스마트밸리개발(주)의 지분구조는 남동구 35.1%, 산업은행 15%, 원일아이디씨 35.2%, 현대엔지니어링 외 3개사 14.7% 등으로 구성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