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뉴스 이정규 기자 ㅣ시민구단 인천 유나이티드가 불법(무허가) 축구교실에 구단 상호 사용을 허용하고 대가를 챙겼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시민 세금과 응원으로 운영되는 구단이 정작 시민 자녀들이 있는 교육 현장에서는 관리·감독을 방기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최근 영종 지역에서 정식 교육 공간도 없는 무허가 축구교실이 공공 체육시설을 사실상 전용해 운영해 온 사실이 확인됐다.
무허가 축구교실을 운영한 대표 A씨는 최근 3여년간 학부모들로부터 교육비를 현금으로 받아왔고, 원생 모집에는 ‘인천유나이티드’ 이름을 전면에 내걸어 홍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원이 잇따르자 중구청은 현장 확인을 통해 무허가 운영 사실을 적발하고 행정조치를 했다.
논란의 핵심은 따로 있다. 프로구단이 외부인에게 상호 사용을 허용하고 그 대가로 비용을 받았다는 점이다.
구단 상호는 신뢰와 가치를 상징한다. 이를 무분별하게 내줬다면 사실상 ‘브랜드 장사’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체육계 한 관계자는 “정식 아카데미도 아닌데 구단 이름을 내주고 돈까지 받았다면 시민과 학부모를 기만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이 ▲유소년 체육교육 관리 부실 ▲공공체육시설 사유화 ▲시민구단 책임 방기 등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고 본다.
인천유나이티드는 현재 아카데미 9개 지부를 운영 중이다. 지역 체육계에서는 “단일 사례로 끝낼 문제가 아니다”라며 전 지부에 대한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축구교실 A대표는 "3여년간 잘못 운영한 부분은 인정한다. 하지만 최초 운영 때와 3여년전 교습업 운영기준 등이 변경돼 그 과정에서 기준을 맞추지 못해 발생한 사안이다"며, "현재 기준에 맞게 준비 중이다"고 해명했다.
인천 유나이티드 측은 “구단은 각 아카데미 지부에서 연간 1000만 원을 받고 상호 사용을 허용하며 매년 사업자 등 기준을 점검한다”며 “영종지부의 경우 처음 계약 당시에는 기준에 맞게 아카데미를 운영했지만, 최근 3년간 문제가 있었던 사실을 파악했고 조속히 기준에 맞게 운영할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다만 구단은 “운영·홍보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그러나 지역 사회의 시선은 차갑다. 주민들은 “시민구단 간판을 내걸고 시민 자녀를 돈벌이 수단으로 삼았다”며 “구단 이미지와 신뢰를 스스로 깎아내렸다”고 비판했다.
이번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구단의 관리 책임과 상호 사용 정책 전반에 대한 손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