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유나이티드, "일부 불법은 확인됐지만, 무허가는 아니다" 주장
주민들, "허가 기준 어기고 불법 운영하면 '무허가 아니냐 '" 반박

인천유나이티드 로고. 
인천유나이티드 로고. 

인천뉴스 이정규 기자ㅣ인천유나이티드 명칭을 내걸고 수년간 불법 운영된 축구 아카데미가 적발되면서 지역 사회의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합법적으로 등록 절차를 밟아온 정상 교습소 운영자들은 “정직하게 운영한 우리가 오히려 피해자가 됐다”며 구단 측에 영종지부와의 계약을 즉시 해지하라고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문제의 A업체는 인천유나이티드 이름을 전면에 내세워 학부모와 원생들 사이에 신뢰를 얻었고, 이를 통해 원생 모집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며 상당한 이익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정식 등록을 마치고 각종 검증 절차를 거친 지역 내 정상 업체들은 원생 확보 경쟁에서 불리해지며 수년간 피해를 입었다고 호소한다. 

지역 학원 관계자들은 “몇 년 동안 구단 이름이 붙은 불법 운영 교습소가 버젓이 운영되는 걸 보면서도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 결국 정직하게 운영하는 사람들만 손해를 본 셈”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업계에서는 “지금이라도 구단이 계약을 해지해 책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하지만 사태가 불거지자 인천유나이티드 측은 “영종지부는 무허가가 아니다. 허가를 받고 운영을 시작했으나, 일부 과정에서 불법 운영이 있었던 것일 뿐 무허가로 볼 수는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허가를 받고 문을 열었으니 이후 위법 행위가 적발되더라도 ‘무허가’가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주민들과 업계는 “허가 기준을 어기고 불법을 저질렀다면 사실상 무허가와 다를 바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구단이 내세운 “무허가는 아니고 일부 불법 운영”이라는 설명에 대해 “책임을 피하려는 괴변”이라는 여론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실제로 지역 학부모들은 “허가를 받고 시작했더라도 운영 기준을 지키지 않고 불법을 저질렀다면 무허가보다 더 악질적”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명칭 도용이나 학원법 위반에 그치지 않는다. 시민 세금과 응원으로 운영되는 프로구단의 이름이 수년간 상업적으로 악용되는 동안, 구단은 사실상 이를 방치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전문가들은 “브랜드 관리 실패의 책임을 구단이 져야 한다”며 “피해를 본 정상 업체들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결국 이번 논란의 본질은 ‘무허가냐 아니냐’라는 단어 선택이 아니다. 관리·감독의 책임을 외면한 채 “무허가는 아니고 일부 불법”이라고 선 긋기에 나선 구단의 태도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괴변으로 일관하는 사이,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사회와 정상 운영자들이 떠안아야 했다.

저작권자 © 인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